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투자방법

이동평균선 하루만에 정복하기!

by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 2022. 10. 11.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입니다.

오늘은 가장 흔하고 많이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움직인 주가의 평균값으로 짧게 이평선이라고 많이 부른다.

 

이동 평균선의 의미
  • 5일 (1주일) : 심리선 [단기매매선]
  • 20일 (한 달) : 금리선 [생명선]
  • 60일 (3개월) : 수급선
  • 90일 (4.5개월) : 추세선
  • 120일 (6개월) : 경기선
  • 200일 (10개월) : 대세선
  • 240일 (1년) : 대세선

이게 일반적인 이동평균선의 기간과 의미입니다.

주식의 경우 1주일 5번 장이 열리고 주말엔 쉬기 때문에 5일을 기준으로 이동평균선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코인의 경우 1주일 내내 24시간 장이 열려있기 때문에 값을 조금 다르게 사용하기도 합니다.
7일 단위로 7 / 14 / 21 / 35 / 70 / 126 / 238 / 504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다만 무조건 이렇게 해야 한다 정해진 건 없으므로 본인이 보기 편한 설정값으로 매매에 적용하면 됩니다.

 

 

이동 평균선의 원리
  • 주가 아래에 이동평균선은 지지선 역할을하며 주가 위의 이동평균선은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의 기간이 짧을수록 지지와 저항의 정도가 약합니다.
  • 강항 상승이 진행중일때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승을 지속합니다.
  • 강한 하락이 진행중일때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아 상승을 저지하고 하락을 지속합니다.
  • 지지가 꺠지면 이동평균선은 저항선으로 작용하며,  저항선이 뚫리면 지지선으로 작용합니다.
    (지지와 저항의 역할 반전)
  •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돌파하면 매수 시점이다.
  •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돌파하면 매도 시점이다. 

 

 

이동평균선 지지와 저항

 

정배열과 역배열
  • 정배열
    각각의 이평선이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각 이평선이 모여 있다가 단기 이평선부터 차례대로 위를 향해 오르기 시작하는 구간으로
    골든크로스가 발생해 큰 상승이 시작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
  • 역배열
    각각의 이평선이 저항 역할을 합니다.
    각 이평선이 모여 있다가 단기 이평선부터 차례대로 아래를 향해 내리기 시작하는 구간으로
  • 데드크로스가 발생해 큰 하락이 시작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데드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

정배열 / 역배열

이동평균선 정리
  • 추세가 강하게 상승을 하고 있을 땐 주가가 이동 평균선 위에서 계속 차트를 그리며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정배열)
  • 추세가 강하게 하락을 하고 있을땐 주가가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계속 차트를 그리며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역배열)
  •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엔 이동평균선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회귀본능이 일어납니다.
  • 이동평균선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합니다. (역할 반전)
  •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돌파할 때는 매수와 매도 신호입니다.
  • 골든크로스란 매수 신호로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데드크로스란 매도 신호로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주가가 장기 이평선을 돌파할 때는 큰 추세의 반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동 평균선 역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단 매물대와 추세가 함께 겹쳐지는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이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