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투자방법

조정파동 플랫 (Flat)

by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 2022. 10. 2.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입니다.

오늘은 조정파동 지그재그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패턴인 플렛(Flat)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합니다.

플렛은 확장 플랫, 레귤러 플랫, 러닝 플랫 이렇게 3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규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플랫 (Flat) 조정파동의 규칙
  • 플렛 파동은 3개의 파동 ABC로 구성된다 (3-3-5)
    A 파동 : 삼각수렴을 제외한 모든 조정 패턴이 가능하다
    B파동 : 모든 조정 패턴이 가능하다 (지그재그와 동일)
    C파동 : 임펄스 혹은 다이고 날의 형태로 나온다.

  • B파동은 A파를 90% 이상 되돌려야 한다.
플렛 (Flat) 조정 파동의 종류
  • 레귤러 플랫 (Regular Flat) 
    : B파가 A파를 0.9~1.05 사이로 되돌리며, C파의 크기가 A파의 1.0~1.05만큼 확장된다
  • 확장 플랫 (Expanded Flat) 
    : B파가 A파를 1.05~1.382 사이로 되돌리며, C파가  A파의 끝을 넘어서 확장된다. (흔히 1.618 확장 시 2.618 이상)

  • 러닝 플랫 (Running Flat)
    :B파가 A파 시작 부분을 넘어서 끝나며, C파는 A파의 끝을 넘어서지 못한다.

레귤려 플랫 (Regular Flat) / 러닝 플랫 (Running Flat)
확장 플랫 (Expanded Flat)

  • 확장 플랫 (Expanded Flat) : 가장 일반적인 형태
  • 레귤러 플랫 (Regular Flat) : 드물게 등장
  • 러닝 플랫 (Running Flat) : 매우 드물게 등장

    엘리엇 파동이론을 배운 사람마다 어떤 패턴이 일반적인 형태인지 의견이 갈립니다.
    어떠한 서적에는 확장 플랫 (Expanded Flat)이 일반적이고 레귤러 플랫 (Regular Flat)이 드물게 등장한다고 하지만
    또 다른 의견으론 불규칙 조정인 확장 플랫과 러닝 플랫(Running Flat)이 드물고 레귤러 플랫이 일반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코인 추세에는 각 패턴 모두 다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시간 프레임을 분봉 단위에서 볼 때 모든 패턴이 자주 등장하므로 각 조정 파동의 특징을 세밀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조정 파동의 패턴 중 Flat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전에 말씀드렸던 지그재그 (Zigzag) 조정 파동과 플랫 (Flat) 파동은 굉장히 자주 등장하므로 충분한 공부와 함께 차트에도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혹시 아직 지그재그 파동에 대해 모르신다면 
https://hometrading.tistory.com/entry/%EC%A1%B0%EC%A0%95%ED%8C%8C%EB%8F%99%EC%9D%98-%EC%A2%85%EB%A5%98-%EC%A7%80%EA%B7%B8%EC%9E%AC%EA%B7%B8

 

조정파동의 종류와 특징 (지그재그)

안녕하세요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입니다. 조정파동은 지그재그 (Zigzag), 플렛 (Flat), 삼각수렴 (Triangle), 복합 조정 ( Double Three, Triple Three)가 있습니다. 각 조정파동의 규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 알

hometrading.tistory.com

위 링크를 통해 공부 혹은 다시 한번 복습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다음 글에선 복합 조정에 대해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