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투자방법

주식,코인차트 추세선이란? 보는법 마스터하기!

by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 2022. 10. 9.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입니다.

오늘은 추세선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추세선을 어떻게 그어야 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추세란?

  •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다.
  • 시장 혹은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승추세 / 하락추세 / 횡보추세

상승추세 : 수급 측면에서 매수 세력이 강함을 나타낸다.

하락 추세 : 수급 측면에서 매도 세력이 강함을 나타낸다.

횡보 추세 : 수급 측면에서 매수/매도가 균형을 이룬다.

 

시간 프레임에 따라 다르지만 한번 형성된 추세는 그 추세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상승 추세와 하락추세 매물대 돌파

상승 추세 : 기존 전고점 혹은 매물대를 돌파했을 경우 기존에 저항받던 매물대는 지지하는 역할로 바뀌게 됩니다.
하락 추세 : 기존 전고점 혹은 매물대를 돌파했을 경우 기존에 지지받던 매물대는 저항받는 매물대로 변하게 됩니다.

 

추세선 긋는 법

상승 추세일 경우 : 저점과 저점을 이으면 됩니다.

하락 추세일 경우 : 고점과 고점을 이으면 됩니다.
(위 그림 참고)

 

지지와 저항의 강도
  • 많은 거래량이 수반될수록 강합니다.
  • 장기적인 추세의 고점과 저점이 단기적 추세의 고점, 저점보다 추세의 강도가 세고 단단합니다.
  • 여러 번 돌파 시도된 저점과 고점은 점차 지지와 저항력이 약화됩니다.
    (흔이 차트 보시는 분들은 3번째, 4번째, 3트, 4트 도전! 이런 식으로 말하곤 하죠)
매매전략

흔히 장기 하락 추세 또는 장기 상승추세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엔 추세를 역행하지 말라는 말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예를 들어 차트가 지금의 비트코인처럼 장기 하락 추세 안에서 움직일 경우엔 주가를 매수보단 매도의 포지션을 잡는 게 유리하다는 겁니다.

매수자리를 기다리는 것보단 주가가 올라왔을 때 추세선 부근에서 숏포지션을 진입하는 게 훨씬 안전하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역추세로 매매를 진행할 경우엔 타이트한 손절라인과 이전 매물대 + 여러 가지 보조지표를 접목하여 짧게 짧게 수익 실현하는 게 좋은 전략이겠습니다.

역추세로 스윙투자는 올바른 매매가 아니겠죠?

 

그렇다면 장기 하락 추세일 경우 언제 매수를 해야 하나?

그건 바로 장기 추세선을 거래량과 함께 돌파하고 다시 주가가 눌렸을 때 지지받는 모습을 확인되면,

그때가 바로 매수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락추세 돌파 후 지지

굳이 떨어지는 칼날을 받으면서 손절 혹은 청산을 여러 번 당하는 것보단 안정적이게 매수 타이밍을 기다리는 게 좋습니다.
위 사진처럼 장기 하락 추세를 돌파한 후 지지받는 모습을 보고 나서 매수 포지션을 진입해도 먹을 건 충분하기 때문에,

항상 확인 매매하는 습관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각 추세 안에서의 지지와 저항 역할은 추세선뿐만이 아니라 여러 수평 매물대 부근에서 많이 일어나는데 추세와 함께 매물대를 같이 보시면 어느 지점에서 반등이 오거나 저항이 오겠구나~ 하고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지지와 저항에 관해선 아래 링크를 통해 한번 더 복습 혹은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https://hometrading.tistory.com/entry/%EC%BD%94%EC%9D%B8%EC%A3%BC%EC%8B%9D-%EC%A7%80%EC%A7%80%EC%99%80-%EC%A0%80%ED%95%AD-%EC%9D%B4%ED%95%B4%ED%95%98%EA%B8%B0

 

코인&주식 지지와 저항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방구석 트레이더 방트입니다. 오늘은 코인 및 주식차트 (박스권)의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지와 저항 지지선이란 말 그대로 지지하는 선으로, 가격이 하락할 때 특정

hometrading.tistory.com

그럼 오늘도 공부하느라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엔 또 다른 유익한 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투자의 책임과 판단은 본인의 몫이므로 열심히 공부하셔서 항상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댓글